-
컴포넌트
투명OLED 솔루션 6가지 구성요소 자세히 알아보기 _ ③ 콘텐츠
‘Content is king.’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고객들의 눈길을 사로잡고 참여를 이끄는 콘텐츠는 그 무엇보다고 중요합니다. 효과적인 콘텐츠를 만드는 일반적인 규칙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목표 고객과 위치를 고려하라 젊은 여성을 위한 콘텐츠와 65세 이상 노인을 위한 콘텐츠는 달라야 합니다. 또한 대기 장소에서의 콘텐츠와 슈퍼마켓 같은 스쳐 지나가는 곳에서의 콘텐츠도 달라야 합니다. 2. 디자인 원리를 기억하라 텍스트와 배경은 확실히 대비되는 컬러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너무 많은 텍스트를 사용하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멀리서도 잘 보일 수 있게 텍스트는 충분히 크게 하고 가장 중요한 정보만을 나타내야 합니다. 고객의 관심을 끌기 위해서는 가장 중요한 메시지가 첫 8초 안에 시각적으로 잘 표시되고 해석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3. 움직임을 더하라 조사에 따르면 정적인 이미지보다 동적인 이미지가 75% 정도 더 눈길을 끄는 것으로 분석 되었습니다. 4. 규칙적으로 콘텐츠를 바꿔라 고정된 콘텐츠는 결국 고객들의 집중을 잃게 됩니다. 단지 레이아웃 혹은 이미지 한 장을 교체하는 것만으로도 큰 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5. 하드웨어 특성을 고려하라 OLED, LCD, LED 등 디스플레이 마다의 고유한 특성과 미디어 플레이어의 사양을 고려한 제작과 구성이 필요합니다. (출처 : Digital Signage Today) [ 투명OLED 특성 : 해상도 1920x1080 FHD, 투명도 38%, 밝기 400 / 150 nit ] = 지난 시리즈 = #1 : 투명OLED 솔루션이란? 6가지 구성요소 알아보기 #2 : 투명OLED 솔루션 6가지 구성요소 자세히 알아보기 _ ① 하드웨어 #3 : 투명OLED 솔루션 6가지 구성요소 자세히 알아보기 _ ② 소프트웨어
2021.09.29 -
컴포넌트
투명OLED 솔루션 6가지 구성요소 자세히 알아보기 _ ②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는 하드웨어(미디어플레이어, PC 등)를 동작 시키는 시스템 소프트웨어(윈도우, 안드로이드 등)와 시스템 소프트웨어 위에서 사용자가 직접 사용하는 응용(Application) 소프트웨어로 나눌 수 있으며 이를 간단하게 줄여 App이라고도 칭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설명드릴 내용은 투명OLED 등과 같이 상업용 디스플레이 솔루션에 사용되는 응용 소프트웨어에 관한 것으로 콘텐츠관리시스템 줄여서 CMS(Contents Management System)라고 합니다. CMS는 화면에 표시 할 메시지를 생성, 관리, 예약 및 배포하는 데 필요한 도구를 제공합니다. 콘텐츠 및 프로그램 일정 정보는 네트워크를 통해 미디어플레이어로 전송되며, 근래에는 어디에서나 관리가 용이한 클라우드를 활용한 CMS가 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 웹 기반 CMS ] 주로 큰 규모의 광고 운영자, 전시 홍보관 등에 사용 되며 고해상도, 인터렉티브까지 다양한 콘텐츠를 운영할 수 있습니다. (출처 : 이지위드) [ 모바일 기반 CMS ] 주로 소규모 매장의 메뉴판, 광고에 사용 되며 간편하고 저렴하게 콘텐츠를 운영할 수 있습니다. (출처 : 프로모타) = 지난 시리즈 = #1 : 투명OLED 솔루션이란? 6가지 구성요소 알아보기 #2 : 투명OLED 솔루션 6가지 구성요소 자세히 알아보기 _ ① 하드웨어
2021.09.10 -
산업동향
투명OLED 활용 지하철 창문 광고 허용 (행안부)
규제개혁신문고 10大 규제혁신 사례 중, '투명 OLED'와 관련된 내용 입니다. [ 현황 ] 교통수단 외부면에 발광(發光)하는 창문 광고는 원칙적으로 금지되어, ‘투명 OLED 활용 지하철 광고’ 국내 허용 여부가 불명확 → 국내 지하철 등에 본격적 도입이 지연 ※ 한국이 세계 최초로 관련기술 개발. 현재 중국 주요 도시에서 운용 중이며, 러시아‧일본도 본격적 도입 추진 중 [ 개선 ] ‘투명 OLED 활용 지하철 광고’는 교통수단 외부면에 발광하는 창문광고 금지 규제 비대상임을 명확화 → 국내 지하철 등에 해당 신기술을 활용한 광고방식 본격적 도입 계기 마련 ※ 「옥외광고물법」 유권해석(’20.12.3, 완료) (출처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2021.08.31 -
컴포넌트
투명OLED 솔루션 6가지 구성요소 자세히 알아보기 _ ① 하드웨어
[ 디스플레이 세트 구성 ] 디스플레이 - 패널 : 디스플레이의 핵심 부품으로 전기 신호를 받아 빛을 발산하는 픽셀(FHD의 경우 1920x1080 개의 픽셀)들로 구성 되어 있습니다. 투명OLED는 픽셀 내에 빛의 삼원색인 빨강, 초록, 파랑 3개의 서브픽셀 이외에 빛을 그대로 투과 시키는 공간이 추가로 설계 되어 있고 픽셀 전극에 투명한 소재를 적용하여 약 40%의 투과율을 갖고 있습니다. - 보호유리 : 외부 충격으로부터 패널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 환경에 맞춰 패널 전면, 후면 또는 전후면 모두 부착하기도 합니다. 일반적으로 3mm~4mm 두께의 보호유리를 사용하며, 패널과 보호유리 사이에 공간이 생기면 굴절률 차이로 인한 이중상 등으로 시인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광학용 접착제를 사용하여 전면 합착하는 Optical Bonding 방식이 적용 되고 있습니다. - 인터렉티브한 콘텐츠를 위한 터치 기능이 필요할 경우에는 터치 센서가 적용된 필름 또는 유리가 추가로 부착 됩니다. 프레임 - 투명 디스플레이 특성 상 일반 TV / 모니터에 있는 후면커버는 존재하지 않으며, 좌우 측면과 상단 베젤도 설치 조건에 따라 삭제가 가능합니다. 단, 하단부에는 패널 회로부와 구동보드가 위치해 있고 스탠드(또는 브라켓, 캐비닛)와 체결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를 위한 기구 구조와 커버가 필요합니다. 구동 보드 - 영상 : 미디어플레이로부터 영상 신호를 받아 패널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주요 기능은 해상도 변환과 화질 조정(밝기, 대비, 위치 등), 아날로그/디지털 신호 변조입니다. 그래서 흔히 AD(Analog to Digital) Board라고 불리고 있습니다. - 전원 : 교류 전원을 입력 받아서 AD Board와 패널에서 필요로 하는 크기의 직류 전원으로 바꿔 공급해주는 장치 입니다. (SMPS ; Switching Mode Power Supply) [ 투명 디스플레이 기술 비교 ] 이미지 출처 : oledspace.com [ 미디어 플레이어 종류 ] 내용 출처 : broadsign.com 미디어 플레이어란 ? 디스플레이에 부착 되거나 내장된 장치로 이미지, 비디오 또는 인터렉티브 콘텐츠를 화면에 공급하는 역할을 합니다. 거의 대부분 콘텐츠를 관리(스케쥴링, 편집, 재생 등)하는 소프트웨어의 지원을 받아서 미디어를 처리하게 됩니다. 따라서 각 프로젝트의 사용 환경에 적합한 하드웨어 사양과 소프트웨어 호환성을 모두 고려하여 선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윈도우 / 리눅스 기반 PC - 장점 : 대부분의 소프트웨어와 호환 가능하며 여러 화면을 네트워크로 엮을 수 있고 고품질(4K, 8K) 콘텐츠 전달이 가능합니다. - 단점 : 고성능인 만큼 가격이 비싸고 셋업 및 유지 관리가 까다로울 수 있습니다. 안드로이드 미디어 박스 - 장점 : 가격이 저렴하며 간편하게 원하는 소프트웨어를 설치할 수 있고 간단한 콘텐츠를 전달하는데 적합합니다. - 단점 : 안드로이드 OS는 기본적으로 소비자 용이기 때문에 복잡한 네트워크에는 부적합하며 보안 상 위험도 상대적으로 높습니다. 크롬 OS 기기 - 장점 : 크롬 키오스크 모드를 통해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고 추가 라이선스 비용을 지불하면 전 세계 어디에서나 인터넷에 연결된 크롬 OS 기기를 제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정기적인 업데이트, 보안 강화, 기능 개선이 가능합니다. - 단점 : 초기에는 가격이 상당히 저렴했으나 그 폭이 매우 넓어졌고, 고성능 소프트웨어인 경우 종종 크롬 OS와 호환이 되지 않습니다. 디스플레이 내장 (SoC ; System on Chip) - 장점 : 디스플레이와 플레이어를 동시에 관리할 수 있어 비교적 저렴하고, 하드웨어가 표준화 되어 있어 문제 해결의 복잡성이 줄어듭니다. - 단점 : 외부 기기 대비 덜 유연하고 확장성에 제약이 있기 때문에 규모가 큰 네트워크나 복잡한 캠페인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지난 시리즈 = #1 : 투명OLED 솔루션이란? 6가지 구성요소 알아보기
2021.08.26 -
컴포넌트
투명OLED 솔루션이란? 6가지 구성요소 알아보기
우리 눈에 보이는 것은 투명하고 화려한 화면과 외관 디자인이지만, 그러한 장면을 연출하기 위해서는 설치 목적과 현장 환경을 고려하여 다양한 요소들이 융합 되어야 합니다. 투명OLED 솔루션의 구성 요소를 크게 6가지로 나누어 살펴 보겠습니다. ① 하드웨어 - 디스플레이 : 영상을 출력하는 장치로 투명 OLED의 경우 일반적으로 외부 충격 보호를 위해 보호유리가 합착 되어 있습니다. - 미디어플레이어 : 동영상 또는 음악을 재생 시키기 위한 장치로 서버급 처리 능력을 제공하는 다중 출력 고성능 플레이어부터 스마트폰과 유사한 플레이어, 데스크탑 PC에 필적하는 플레이어 그리고 디스플레이에 내장 된 칩 형태 플레이어도 있습니다. - 그 밖에도 다수의 디스플레이를 중앙 통제식으로 운영할 경우 관리자PC와 서버도 필요하게 됩니다. ② 소프트웨어 - 콘텐츠 관리 시스템(CMS)은 표시 할 메시지를 생성, 관리, 예약 및 배포하는 데 필요한 도구를 제공합니다. 콘텐츠 및 프로그램 일정 정보는 네트워크를 통해 미디어플레이어로 전송됩니다. 이미지 출처 : Xibo(오픈소스 CMS) ③ 콘텐츠 - 소개할 대상 제품/서비스와 설치 공간, 하드웨어 특성과 사양 등을 고려하여 영상과 음향이 시나리오로 조합 되어야 합니다. ④ 기구부 - 하드웨어를 현장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스탠드, 브라켓, 캐비닛 등의 보조 기구물이 필요합니다. 이미지 출처 : Peerless-AV ⑤ 설치 - 하드웨어를 기구부에 연결하여 현장에 시공하는 것부터 파워 및 네트워크 연결, 마감 인테리어 등 제반 과정을 아우릅니다. 이미지 출처 : DID솔루션 ⑥ 유지보수 - 장비 고장 및 통신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며 시스템 업데이트도 수시로 필요합니다. 디스플레이는 고객 대면 장치이기 때문에 오류 또는 서비스가 중단될 경우 현장 대응 또는 원격 제어를 통해 신속하게 해결 되어야 합니다. 이미지 출처 : LG전자 사이니지
2021.08.09